<파이썬 기초> Chapter 02-4 튜플 자료형
				튜플(tuple)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곤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리스트는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으로 둘러싼다. -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 · 삭제 ·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튜플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 t1 = () >>> t2 = (1,) >>> t3 = (1, 2, 3) >>> t4 = 1, 2, 3 >>> t5 = ('a', 'b', ('ab', 'cd')) 리스트와 모습은 거의 비슷하지만 튜플에서는 리스트와 다른 2가지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t2 = (1, )처럼 단지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는 것과 t4 = 1, 2, 3처럼 괄호()를 생략해도 무방하드는 점이다. ..
			
		 
	
	
                
            
                
	
		
			
				
					
				
				<파이썬 기초> Chapter 02-3 리스트 자료형
				지금까지 우리는 숫자와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하지만 숫자와 문자열만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 홀수 모음인 1,3,5,7,9의 집합을 생각해 보자. 이런 숫자 모음을 숫자나 문자열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다. 파이썬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자료형이 존재한다. 그것이 바로 여기에서 공부할 리스트(List)이다.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odd = [1, 3, 5, 7, 9]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괄호([])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로 구분해 준다.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파이썬 기초> Chapter 02-1 숫자 자료형
				숫자형(Number)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보자. 123같은 정수, 12.34같은 실수, 드물게 사용하긴 하지만 8진수나 16진수 같은 것도 있다. 다음 표는 파이썬에서 숫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간략하게 보여 준다. 항목 파이썬 사용 예 정수 123, -345, 0 실수 123.45, -1234.5,.3.4e10 8진수 0o34, 0o25 16진수 0x2A, OxFF 이제 이런 숫자를 파이썬에서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숫자형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정수형 정수형(Integer)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한다. 다음 예는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 숫자 0을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