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ython/Basics

(8)
<파이썬 기초> Chapter 02-8 자료형의 값을 저장하는 공간, 변수 지금부터 설명할 내용은 프로그래밍 초보자가 얼른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므로 당장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그냥 건너뛰어도 된다. 파이썬에 대해서 공부하다 보면 자여느럽게 알게 될 것이다. 우리는 앞에서 이미 변수를 사용해 왔다. 다음 예와 같은 a, b, c를 변수라고 한다. >>> a = 1 >>> b = "python" >>> c = [1,2,3] 변수를 만들 때는 위 예처럼 =(assignment) 기호를 사용한다.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JAVA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을 직접 지정해야 한다. 하지만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을 지정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 변수란?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파이썬 기초> Chapter 02-7 불 자료형 불 자료형이란?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불 자료형은 다음 2가지 값만을 가질 수 있다. - True: 참 - False: 거짓 True나 False는 파이썬의 예약어로 true, flase와 같이 사용하지 말고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변수a에는 True를, 변수 b에는 False를 지정해 보자. >>> a = True >>> b = False 따옴표로 감싸지 않은 문자열을 변수에 지정해서 오류가 발생할 것 같지만 잘 실행된다. type 함수를 변수 a와 b에 사용하면 두 변수이 자료형이 bool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ype(x)는 x의 자료형을 확인하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이다. >>> type(a) bo..
<파이썬 기초> Chapter 02-6 집합 자료형 집합 자료형은 어떻게 만들까? 집합(set)은 파이썬 2.3부터 지원하기 시작한 자료형으로,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이다. 집합 자료형은 다음과 같이 set 키워드를 사용해 만들 수 있다. >>> s1 = set([1,2,3]) >>> s1 {1, 2, 3} 위와 같이 set()의 괄호 안에 리스트를 입력하여 만들거나 다음과 같이 문자열을 입력하여 만들 수도 있다. 비어 있는 집합 자료형은 s = set()로 만들 수 있다. >>> s2 = set("Hello") >>> s2 {'H', 'e', 'l', 'o'} 집합 자료형은 특징 자, 그런데 위에서 살펴본 set("Hello")의 결과가 좀 이상하지 않은가? 분명 "Hello" 문자열로 set 자료형을 만들었는데 생성된 자료..
<파이썬 기초> Chapter 02-5 딕셔너리 자료형 딕셔너리란? 사람은 누구든지 '이름' = '홍길동', '생일' = '몇 월 몇 일'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파이썬은 영리하게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을 가지고 있다. 요즘 사용하는 대부분의 언어도 이러한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자료형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연관 배열(Associative array) 또는 해시(Hash)라고 한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자료형을 딕셔너리(Dictionary)라고 하는데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사전이라는 뜻이다. 즉 'poeple'이라는 단어에 '시람', 'baseball' 이라는 단어에 '야구'라는 뜻이 부합되듯이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예컨대 Key가 'baseball'이라면 Value는 '야구'가 될 것이다. 딕셔..
<파이썬 기초> Chapter 02-4 튜플 자료형 튜플(tuple)은 몇 가지 점을 제외하곤 리스트와 거의 비슷하며 리스트와 다른 점은 다음과 같다. - 리스트는 []으로 둘러싸지만 튜플은 ()으로 둘러싼다. - 리스트는 그 값의 생성 · 삭제 · 수정이 가능하지만 튜플은 그 값을 바꿀 수 없다. 튜플의 모습은 다음과 같다. >>> t1 = () >>> t2 = (1,) >>> t3 = (1, 2, 3) >>> t4 = 1, 2, 3 >>> t5 = ('a', 'b', ('ab', 'cd')) 리스트와 모습은 거의 비슷하지만 튜플에서는 리스트와 다른 2가지 차이점을 찾아볼 수 있다. t2 = (1, )처럼 단지 1개의 요소만을 가질 때는 요소 뒤에 콤마(,)를 반드시 붙여야 한다는 것과 t4 = 1, 2, 3처럼 괄호()를 생략해도 무방하드는 점이다. ..
<파이썬 기초> Chapter 02-3 리스트 자료형 지금까지 우리는 숫자와 문자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하지만 숫자와 문자열만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기엔 부족한 점이 많다. 예를 들어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 홀수 모음인 1,3,5,7,9의 집합을 생각해 보자. 이런 숫자 모음을 숫자나 문자열로 표현하기는 쉽지 않다. 파이썬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자료형이 존재한다. 그것이 바로 여기에서 공부할 리스트(List)이다.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odd = [1, 3, 5, 7, 9]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괄호([])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로 구분해 준다.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파이썬 기초> Chapter 02-2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String)이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들이 문자열이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a" "123" 위 문자열 예문을 보면 모두 큰따옴표(" ")로 둘러싸여 있다. '123은 숫자인데 왜 문자열이지?'라는 의문이 드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따옴표로 둘러싸여 있으면 모두 문자열이라고 보면 된다. 문자열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위 예에서는 문자열을 만들 때 큰따옴표("")만을 사용했지만 이 외에도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3가지가 더 있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이다.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Hello World"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Python ..
<파이썬 기초> Chapter 02-1 숫자 자료형 숫자형(Number)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것을 생각해 보자. 123같은 정수, 12.34같은 실수, 드물게 사용하긴 하지만 8진수나 16진수 같은 것도 있다. 다음 표는 파이썬에서 숫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간략하게 보여 준다. 항목 파이썬 사용 예 정수 123, -345, 0 실수 123.45, -1234.5,.3.4e10 8진수 0o34, 0o25 16진수 0x2A, OxFF 이제 이런 숫자를 파이썬에서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하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숫자형은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정수형 정수형(Integer)이란 말 그대로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한다. 다음 예는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 숫자 0을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이다..